1. 네트워크의 기본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네트워크란, 한 마디로 “연결”을 의미한다.
학교도 선생님과 학생들을 이어주는 네트워크, 회사도, 집도 모두 네트워크의 일환이다.

  1.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 하지만 컴퓨터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카톡 메시지를 주고 받는 것, 인터넷에서 정보를 검색하거나 작성하는 것 모두 데이터의 전달 과정이 그 기반이 된다.

  2. 사설 네트워크 (인트라넷)

    사설 네트워크는 사용자의 제한을 두는 제한적인 네트워크다.

    ⇒ 인트라넷, LAN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3. 인터넷

    누구나 접속이 가능한 네트워크다

    ⇒ 해커, 옆집 강아지(?), 할아버지 할머니 등등 브라우저를 통해 누구든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LAN과 WAN

LAN과 WAN은 사설 네트워크(인트라넷 등)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다.

  1. LAN (Local Area Network)

    ⇒ 가까운 범위 내의 기기들을 라우터 등을 통해 연결시키고, 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 등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즉, 가까운 거리에 있는 기계와 기계를 연결시킨다!

    물론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의 LAN 구성 방법도 존재한다.
  2. WAN (Wide Area Network)

    ⇒ 위의 LAN을 다른 거점의 LAN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LAN과 LAN의 연결을 돕는 징검다리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인터넷

그렇다면 근거리 기기간의 통신이 아닌, 각기 떨어져 있는 세상의 모든 사람들과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은 뭘까? → 바로 인터넷이다.

AS의 구성도
  1. AS와 ISP
  • AS : 자율 시스템(Autonomous System)
    ⇒ 전세계의 다양한 조직들이 운영하는 네트워크조직 등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생태계
  • 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
    ⇒ 쉽게 설명하자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기업을 의미한다.
    • 1티어 ISP로는 SKT, KT, LG U+ 등이 있다.
    • 하위 티어의 영세 ISP도 많은데, 이들의 통신은 어쩔 수 없이 1티어 ISP를 경유할 수밖에 없다
      즉, 우리는 인터넷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1티어 ISP를 반드시 사용하게 된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는 것은 알겠다.
그렇다면 그 데이터가 도대체 어떻게 저장되고 어디에 저장되는 것인가?

  1. 서버와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서버
    일반적인 우리들의 컴퓨터 굉장히 좋은 컴퓨터
    주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Reuest)” 클라이언트로 부터 요청을 처리 (Response)

    ⇒ 클라이언트(우리)는 서버에 어떠한 특정 요청을 보내고 → 서버는 이러한 요청을 처리한 뒤 응답(Response)를 보내준다. 고객이 레스토랑에서 웨이터에게 주문을 하는 것과 같다고 보면 된다.
  2.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아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애플리케이션이다.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반환된 데이터를 받아내는 것 또한 클라이언트의 애플리케이션이다.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프로토콜

그럼 어떤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까?
⇒ 네트워크를 통한 올바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선 규칙과 규약 등이 필요하다.

  1. 프로토콜

    ⇒ 우리가 한국어를 사용할 때 막 사용하는 것이 아니듯이, 네트워크 또한 통신을 할 때 자기가 원하는 대로 규칙없이 대화를 하지는 않는다.

    • 한국어에도 문법, 훈민정음, 발음, 상황에 따른 용법 등 다양한 규칙과 기준이 존재하듯, 네트워크 통신에도 이러한 다양한 규칙(프로토콜)들이 존재한다.
    • 즉,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규약이자 규칙들의 단편들이다.
  2. 네트워크 아키텍처

    ⇒ 위의 프로토콜들이 종합된 것이 네트워크 아키텍처다.
    한국어, 영어와 같이 하나의 언어라고 생각하면 된다.

  3. TCP/IP

    전세계적으로 영어가 공용어로 통하듯이, 대부분 통용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표준은 TCP/IP다.

    이러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아키텍처는 프로토콜들을 단순히 집약해놓은 것이 아니라, 계층화 하여 기능별로 구분해 둔다.

    • TCP/IP의 계층
      • 애플리케이션 계층
      • 트랜스포트 계층
      • 인터넷층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층

클라우드 네트워크

전통적인 방식은 회사 등이 자체적으로 서버를 구축하여 운용하고 관리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시대가 변함에 따라, 인터넷만 통해서 가상의 (물리적으로 떨어져있는) 서버를 구축할 수 있게 되었고, 우리는 이를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부른다.

  1.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
  • Iaas : 하드웨어만 사용 가능
  • Paas : 하드웨어와 OS, Middleware등의 시스템 플랫폼을 활용 가능하다.
  • Saas : 하드웨어와 플랫폼 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기능까지 모두 사용 가능하다
    ⇒ 대표적인 예로 AWS를 들 수 있다.

Author

Hoonjoo

Posted on

2021-12-31

Updated on

2022-03-01

Licensed under

Comments